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Elasticsearch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실시간(real-time) 분석 시스템입니다.
현재 대용량 데이터 분석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하둡(Hadoop)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Pig, Hive와 같은 다양한 맵 리듀서(Map reducer) 들입니다.
Elasticsearch는 하둡 시스템과 달리 Elasticsearch 클러스터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데이터가 입력 (검색엔진에서는 색인 – indexing이라고 표현합니다) 되고, 그와 동시에 실시간에 가까운 (near real-time) 속도로 색인된 데이터의 검색, 집계가 가능합니다.
※ 하둡은 기본적으로 배치 기반의 분석 시스템으로 분석에 사용될 소스 데이터, 분석을 수행 할 프로그램을 올려놓고 분석을 실행하여 결과 셋이 나오도록 하는 하나의 루틴으로 실행됩니다.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는 Elasticsearch를 다운 받아 보겠습니다.
저는 강의에 맞는 7.11.1 버전을 다운받았습니다!
https://www.elastic.co/kr/downloads/past-releases/elasticsearch-7-11-1
Elasticsearch 7.11.1 | Elastic
www.elastic.co
해당 링크를 클릭하시면 7.11.1 버전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키바나도 같이 다운로드해줍니다. 버전은 동일합니다.
https://www.elastic.co/kr/downloads/past-releases/kibana-7-11-1
Kibana 7.11.1 | Elastic
www.elastic.co
엘라스틱과 키바나는 같은 버전을 사용해줘야 합니다.
workspace에 다운로드를 해주고 압축을 풀었습니다.
이렇게 압축을 해주면 알집 파일들이 복잡하니까 files 폴더 하나 만들어서
압축파일들을 정리해 줍니다.
그다음, 이름도 짧고 깔끔하게 바꿔주었습니다.
geunju@Geunju es-711 % bin/elasticsearch
bin 폴더에서 엘라스틱서치를 실행하게 되면
버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엘라스틱서치는 실행할 때에 옵션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
-d : Elasticsearch를 백그라운 데몬으로 실행합니다.
-
-p <파일명> : Elasticsearch 프로세스 ID를 지정한 파일에 저장합니다.실행이 종료되면 저장된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다시 서버를 내린 후, 실행을 해보겠습니다.
bin/elasticsearch -d
잘 실행이 되지만, 종료하는 방법은 ps -ef | grepelasticsearch을 해보겠습니다.
백그라운드로 실행한 후 ps -ef | grep elasticsearch 명령으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검색하면
Elasticsearch가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ill 31484를 하였습니다..
이러고 나서 다시 http://localhost:9200/ 를 확인한 결과!!!!!!!
사이트 연결 해제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너무 어렵기 때문에 -p 옵션을 사용합니다.
-p <파일명> 옵션을 추가해 실행된 Elasticsearch 프로세스 ID를 특정 파일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es.pid라는 파일에 실행된 Elasticsearch 프로세스 ID를 저장해 보겠습니다.
명령을 실행한 뒤 es.pid 파일을 삭제하면 엘라스틱서치도 자동으로 꺼집니다.
$ bin/elasticsearch -d -p es.pid
$ ls
LICENSE.txt README.textile config es.pid lib modules
NOTICE.txt bin data jdk logs plugins
$ cat es.pid
39060
$ ps -ef | grep elasticsearch
501 39060
이렇게 엘라스틱서치를 다운로드하고, 실행 및 종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혹시 키바나 다운로드 오류 나시는 분!!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Mac kibana 실행시 "개발자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re2.node’을(를) 열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키바나를 다운로드하였으나, 실행 오류가 나서 오류 해결 방법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bin/kibana를 해서 실행을 하려고 하면 이런 오류가 뜨시나요?
jju240.tistory.com
'주니어 기초 코딩공부 > 빅데이터 찍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파일을 로그스테시, 키바나로 보내는 방법! (0) | 2023.06.13 |
---|---|
Mac kibana 실행시 "개발자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re2.node’을(를) 열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1) | 2023.06.13 |
MacOs 유저 로그스테시 다운로드 하는법 (0) | 2023.06.12 |
캐글 CSV 파일을 키바나에서 간단히 분석해보기 (0) | 2023.06.07 |
캐글 CSV 파일을 활용한 인덱스 작성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