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공부 잘 하고 계신가욤?
[Java] PCCE 기초 자료구조 빈칸 문제 풀어보기
안녕하세요~~ 🫶🏻 오랫만에 돌아온 jju_developer 입니다. 그동안 C#과 React를 하다보니... 자바는 손을 놓고 있었네요...??? 그래서 돌아왔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기초! pcce에 나올법 한 빈칸! 그중에
jju240.tistory.com
PCCE 자료구조 빈칸 문제 풀이 및 해설 정답본 공개합니다~
PCCE 자료구조 실전 빈칸 문제 풀이 정답
✅ 1. List – 마지막 요소 반환
list.add("apple");
list.add("banana");
list.add("kiwi");
return list.get(list.size() - 1);
개념: List는 순서가 있는 자료구조이며, 가장 마지막 요소는 get(size - 1)로 접근한다.
✅ 2. Set – 중복 제거 후 개수 반환
set.add(word);
return set.size();
개념: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값을 여러 번 넣어도 한 번만 저장되며, size()로 유일한 값의 개수를 반환한다.
✅ 3. Map – 2회 이상 등장한 단어 수 반환
if (map.containsKey(word)) {
map.put(word, map.get(word) + 1);
} else {
map.put(word, 1);
}
오답 정정:
map.put(word, map.get(word) + 1)에서 map.get()을 사용하지 않고 size()를 쓴 것은 오답이다. (조심하긔...)
size()는 전체 개수이고, get(key)는 해당 key에 대한 값을 꺼내오는 메서드다. =>. 값에 개수가 있으므로...
✅ 4. Queue – 남은 값 개수 반환
queue.offer("A");
queue.offer("B");
queue.poll();
return queue.size();
개념: Queue는 선입선출 구조이며, offer()로 넣고 poll()로 꺼낸다. 남은 개수는 size()로 확인한다.
✅ 5. Stack – pop 2번 후 남은 top 값 반환
stack.push("A");
stack.push("B");
stack.push("C");
stack.pop();
stack.pop();
return stack.peek();
오답 정정:
stack.size()는 남은 개수이고, 현재 top에 있는 값을 반환하려면 peek() 또는 pop()을 사용해야 한다.
이 문제는 값을 반환해야 하므로 peek()이 정답이다.
화이팅..!
728x90
'주니어 기초 코딩공부 > JAVA_programmers_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PCCE 기초 String 관련 메서드 요약 (0) | 2025.05.13 |
---|---|
[Java] PCCE 기초 자료구조 빈칸 문제 풀어보기 (0) | 2025.05.13 |
[PCCE] 프로그래머스 자바 기초 05 심폐소생술 (0) | 2024.09.22 |
[PCCE] 프로그래머스 자바 기초 04 병과 분류 (0) | 2024.09.20 |
[PCCE] 프로그래머스 자바 기초 01 문자 출력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