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어 기초 코딩공부/빅데이터 찍먹

04 엘라스틱 스택_키바나 소개_discover

jju_developer 2023. 6. 1. 16:33
728x90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오늘도 간략히 수업시간에 내운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

키바나는 엘라스틱 스택의 관리, 모니터링, 솔루션을 총괄하는 메인 UI입니다.

 

1. 인덱스 패턴 만들기 : 데이터 탐색에 용의함!

 

키바나 실행 후-> Management -> 인덱스 패턴을 만듭니다.

 

PUT kibana_index1/_doc/1
{
 "name": "kim"
}

PUT kibana_index2/_doc/1
{
 "name": "lee"
}

 

그다음 Kibana > Management > Stack Management 메뉴를 선택하고,

Kibana > Index Patterns > Create index pattern 버튼을 클릭해서 인덱스 패턴을 생성합니다.

kibana_index1
kibana_index2

인덱스를 생성 후,

Discover

Discover 메뉴로 가서 인덱스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인덱스가 2개가 출력되고

name에 각각 인덱스 1,2에서 저장한 이름들이 잘 저장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덱스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 탐색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2. 키바나 쿼리랭귀지 

:쿼리바는 KQL(Kibana Query Language)과 루씬 쿼리 스트링, 두 가지 언어를 지원합니다.

SELECT문이 있습니다!

3. 필터바

: 필터바는 쿼리바와 하는 역할이 비슷하지만 필드를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4. 타임피커

: 타임피커는 날짜/시간 정보를 조작해 데이터를 특정한 날짜/시간 범위 내에서 시각화합니다.

아까 전에 봤던 인덱스 만든 것에는 날짜가 없어서 다른 인덱스로 바꾸고 선택하니까 타임피커가 생겼습니다.

5년 전으로 검색을 하니, 시각화한 값을 자동으로 보여줍니다.

신기하네요 ^^

 

다른 데이터도 선택하여 볼 수 있었습니다.

 해당 데이터가 과거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그때까지 모아놓은 상영된 영화에 대한 레코드들이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인 듯합니다.

특정 상영한 날짜의 데이터가 모여져 있으면 데이터 검색도 쉽고 보기에도 한눈에 보이겠죠?

 

이러한 데이터들을 discover에서 봤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시각화를 위해 

Visualize라는 메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05 엘라스틱 스택_키바나 소개_Visualize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간략히 수업시간에 내운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 키바나는 엘라스틱 스택의 관리, 모니터링, 솔루션을 총괄하는 메인 UI입니다. 이번에는

jju240.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