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해서 로그스테시, 키바나, 엘라스틱서치 설치 및 연동을 마쳤습니다.
마지막으로 키바나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좋게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키바나를 구동시킨 후 브라우저에서 http://123.456.789.123:5601와 같이 서버 ip로 접속을 합니다.
(123.456.789.123에 본인의 IP 주소를 적으시면 됩니다.)
키바나는 기본적으로 5601 포트를 이용하며, 만약 접속이 안되면 방화벽 설정을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저는 따로 kibana.yml 내에 server.host: "123.456.789.123" 와 같이 설정했는지 확인해 보세요.
아마 kibana.yml 파일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면 #server.host: "---.---.---" 막 이렇게 주석 처리 되어있을 겁니다.
주석을 해제하고 본인의 IP 주소를 적어서 해보세요.
오늘 해볼 주제는 데이터에서 전체 인원에서 지역별로 등급이 높은 순을 시각화를 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미 만들어둔 CSV 파일로 인덱스를 생성하였으며,
이번시간에는 시각화를 하는 부분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온 결과를 미리 보겠습니다.
키바나의 Visualize로 사용하였으며 해당 시각화의 이름을 CB by Loc로 지정하였습니다.
이제 이 표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저는 표 형태로 시각화를 하고 싶어서 시각화를 Data Table로 선택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오른쪽을 보면 Data를 두 개의 row로 나눴으며 하나의 table을 split 하도록 진행하였습니다.
1. 등급별로 나누고 싶었기 때문에 등급 하나 선정하고
2. 테이블을 지역별로 나눠서 보고 싶었기 지역 테이블 split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면 간단하게 전체 인구를 지역별로 나누면서 어느 지역의 어떤 등급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시각화 자료를 저장하여 저의 프로젝트에 반영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천 개가 넘는 데이터를 쉽게 분석하여 프로젝트까지 적용할 수 있는 점이 새롭고 재미있습니다.
앞으로는 제가 가지고 있는 빅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분석하여 좀 더 효율성 있는 시각 자료를 만들지
더 고민하여 프로젝트에 반영하려 합니다.
그럼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프로젝트 해당 코드를 원하시는 분들은 비밀 댓글로 남겨주세요~!
'주니어 기초 코딩공부 > 빅데이터 찍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파일을 로그스테시, 키바나로 보내는 방법! (0) | 2023.06.13 |
---|---|
Mac kibana 실행시 "개발자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re2.node’을(를) 열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1) | 2023.06.13 |
MacOS 유저 엘라스틱서치 & 키바나 다운로드 하기 (0) | 2023.06.12 |
MacOs 유저 로그스테시 다운로드 하는법 (0) | 2023.06.12 |
캐글 CSV 파일을 키바나에서 간단히 분석해보기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