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어 기초 코딩공부/Database 기초 37

06장 SQL JOIN (오라클-Cross Join, Equi Join, Non-Equi Join, Self Join)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라클 SQL JOIN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JOIN이란?  SQL에서는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결합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 한 번의 질의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조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JOIN 연결방법? 서로 다른 분리된 두 테이블을 연결하고자 할 때 JOIN을 사용합니다.  특정 부서 번호에 대한 부서 이름은 무엇인지는 부서(DEPT) 테이블에 있습니다. 특정 사원에 대한 부서명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부서 테이블에서 정보를 얻어 와야 한다. 그렇다면, SELECT 부서 번호 FROM EMP WHERE 사원 이름=SMITH ; 이렇게 조회하고 SELECT 부서 이름 FROM DEPT WHER..

06장 SQL 그룹쿼리와 집합연산자 (오라클)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라클 SQL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오라클 그룹 쿼리? 오라클에서 그룹 함수란? 하나 이상의 행을 그룹으로 묶어서 연산하기 위한 것입니다. 총합, 평균 등의 하나의 결과로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당 테이블 (EMP)에서 모든 사원의 SAL (연봉)의 평균을 구할 때에는 주의!! 단순 칼럼을 그룹 함수와 함께 쓸 수 없습니다. ✔GROUP BY? 각 행을 그룹으로 묶는 작업을 GROUP BY라고 합니다. GROUP BY는 공통적인 데이터별로 묶어서 연산처리를 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그렇게 되면 그룹 별 결괏값이 하나만 출력되겠죠? 쉽게 예를 들자면, 전체 회원 데..

05장 SQL 주요 함수 (숫자 함수, 문자 함수)

오늘은 지난 시간의 SELECT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기에 이어서 SQL의 주요 함수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DATABASE #Oracle SQL 우선 만들어진 표의 이름은 EMP이며,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SQL 주요 함수 제가 만든 EMP와 비슷한 테이블인데 SQL안에는 DUAL이라는 테이블이 있습니다.  DUAL 테이블은 산술 연산의 결과를 한 줄로 얻기 위해서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테이블이며,  DUAL 테이블은 DUMMY라는 단 하나의 칼럼에 X라는 단 하나의 로우만을 저장하고 있으나 이 값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DUMMY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DUAL 테이블을 통해 산술 연산의 결과를 한줄로 얻을 수 있습니다. ✔ SQL 주요 함수 1. 숫자 함수..

04장 SELECT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기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 입니다. 오늘은 지난시간의 SQL*Plus에 이어서 SELECT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DATABASE #Oracle SQL 우선 만들어진 표의 이름은 EMP이며,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WHERE 조건과 비교 연산자 전체를 다 가져오기 보다는 원하는 로우 값을 얻으려면 SELECT문에 WHERE 절만 추가하면 됩니다. 비교 연산자를 통해서 원하는 값만 얻을 수 있습니다. no 연산자 의미 예제 1 = 같다. SELECT EMPNO, ENAME, SAL FROM EMP WHERE SAL=3000; 2 > 보다 크다. SELECT EMPNO, ENAME, SAL FROM EMP WHERE SAL>3000; 3 =3000;..

03. SQL과 SQL*PLUS의 개념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의 SQL의 설명에 이어서 SQL의 기본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SQL과 SQL*PLUS의 차이점 SQL SQL*Plu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ANSI 표준 언어 SQL 문을 실행 시킬 수 있는 오라클의 툴 여러 줄 실행 한줄 실행 종결문자(;) 필요 종결문자 불필요 연결문자 불필요 연결문자(-) 필요 키워드 단축 불가 키워드 단축 가능 버퍼에 마지막 명령문 저장 버퍼 저장 안함 지난 시간에 배운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ANSI에서 정한 표준 언어이며, 각 회사에서 SQL을 기준으로 조금씩 변화하여 RDBMS를 만들었습니다. SQL*Plus는 SQL문을 실행시키고 그 결과를 볼 수 있도록 Oracle에서 제공하는 툴이다. ✔..

02. SQL의 기본 데이터 형, 연산자 소개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의 데이터베이스/ 오라클에 이어서 SQL의 기본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데이터 딕셔너리 TAB SELECT * FROM TAB; ->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테이블의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딕셔너리입니다. ✔null의 의미 자바에서의 null은 값이 비어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Database에서의 null은 무슨 의미일까요? DB에서는 null을 모르는 값이라는 겁니다. 비어있는 값이 아닌, 모르는 값입니다. NOT NULL은 모르는 값이 있으면 안 된다, 즉 값을 꼭 넣어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NOT NULL의 의미는 식별 가능한 확실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입력을 해야지만 오류 없이 INSERT가 가능합니다. ✔오라클의 데이터형..

01.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설명 및 SQL 예시

안녕하세요 jju_developer 입니다.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의 간단히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우리가 보통 파일을 저장할 때에 파일에 저장하곤 합니다. 예를 들면 한글, 엑셀, 노트패드 등... 하지만 이 파일 시스템에는 파일 단위로 저장을 하기 때문에 내용의 중복을 막을 수 없고, 데이터의 중복 저장으로 인한 일관성이 결여되게 됩니다. 이로 인한 데이터의 정의와 프로그램의 독립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좀 더 일관성 있고 중복을 제거함으로써 복구, 보안, 동시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회사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요? 쉽게 데이터베이스는 4개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데이터를..